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완벽 가이드 | 국보 제27호 총정리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완벽 가이드 | 국보 제27호 총정리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이란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 극락전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불상입니다. 높이 166cm의 이 불상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27호로 지정되어 우리나라 불교 조각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극락정토를 관장하는 아미타여래를 형상화한 이 작품은 신라 장인들의 뛰어난 기술과 예술성이 집약된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아미타여래의 의미

아미타여래는 범어 ‘아미타유스(Amitayus)’에서 유래한 말로 ‘무한한 수명’을 뜻합니다. 불교에서 서방 극락정토를 다스리며 중생들에게 염불을 통한 극락왕생의 길을 제시하는 부처님으로 신앙되고 있습니다.


역사와 문화재 지정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국보 제27호

불국사의 창건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에 김대성의 발원으로 창건되었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을 세웠다고 전해집니다.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 창건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2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극락전을 지켜온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문화재 지정 현황

  • 지정명칭: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지정번호: 국보 제27호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극락전
  • 시대: 통일신라시대 (8-9세기)

2010년 6월 28일에는 기존 명칭인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에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예술적 특징과 가치

형태적 특징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 불상 양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얼굴과 머리

  •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나발)을 기교 있게 표현
  • 정수리 부근에 큼직하게 솟은 육계(상투 모양의 머리)
  • 원만하고 자비스러운 표정의 정면향 얼굴
  • 반원형의 눈썹과 오똑한 콧날

신체 표현 불상의 신체는 ‘긴장감이 이완된 장대성’으로 요약됩니다.

  • 떡 벌어진 어깨와 당당한 가슴
  • 잘록한 허리와 볼록한 아랫배
  •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연상시키는 사실적 표현
  • 넓게 퍼진 두 무릎으로 매우 안정된 느낌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완벽 가이드 | 국보 제27호

의상과 수인

법의(법복)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친 편단우견(偏袒右肩) 형식
  • 거침없는 주름 표현
  • 옷깃 안쪽에서 밖으로 늘어지는 옷 접힘이 매우 사실적
  • 생동감 넘치는 의습선

수인(손 모양)

  • 왼손: 어깨 높이로 들어 약간 오므리고 손바닥을 보임
  • 오른손: 무릎에 올려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림
  • 아미타여래의 전형적인 손 모양인 구품인(九品印) 중 하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다음 두 불상과 함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립니다.

1.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6호)

불국사 비로전에 봉안된 높이 177cm의 불상으로, 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거의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습니다.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했으며, 이상적인 신체 비례와 세련된 표현이 돋보입니다.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국보 제28호)

질병을 치유하고 수명을 연장시켜준다는 약사여래를 표현한 입상으로, 통일신라시대 불상 조각의 또 다른 걸작입니다.

이 세 불상은 모두 8-9세기 통일신라 전성기에 제작되어 당시 불교 조각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적이면서도 세련된 조형미, 당당하면서도 자비로운 표정, 완벽한 신체 비례가 세 작품의 공통점입니다.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관람 정보

불국사 입장 안내

입장료: 무료 (2023년 5월 4일부터)

  • 문화재보호법 개정으로 국가지정문화재 관람료 전면 무료화
  • 이전 성인 기준 6,000원에서 무료 전환

관람시간

  • 평일/주말/공휴일: 09:00 – 18:00
  • 입장 마감: 18:00
  • 퇴장 시간: 19:00
  • 연중무휴 운영
  • 반려동물 입장 불가

주차 정보

  • 불국사 주차장 이용
  • 주차 요금: 소형 1,000원, 대형 2,000원
  • 주말 및 성수기에는 조기 방문 권장

관람 소요 시간

불국사 전체 관람에는 약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극락전의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국보급 문화재들을 함께 관람할 수 있습니다.

  • 다보탑 (국보 제20호)
  • 삼층석탑(석가탑) (국보 제21호)
  • 청운교 및 백운교 (국보 제23호)
  • 연화교 및 칠보교 (국보 제22호)
  •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국보 제26호)

찾아가는 길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진현동)

대중교통

  • KTX 경주역에서 시내버스 이용
  • 경주 시내에서 불국사행 버스 이용

자가용

  • 경부고속도로 경주IC에서 약 30분
  • 토함산 서쪽 중턱에 위치

관람 팁

  1. 봄철 방문: 매화, 벚꽃, 산수유 등 다양한 봄꽃과 함께 불국사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2. 문화재 해설: 단순히 외형만 관람하기보다는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고 보면 더욱 깊이 있는 감상이 가능합니다.
  3. 석굴암 연계 관람: 불국사에서 석굴암까지 약 3km 거리로, 함께 방문하면 통일신라 불교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석굴암도 2023년부터 무료 입장입니다.
  4. 유네스코 세계유산: 불국사와 석굴암은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전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가이드 | 국보 제27호

문화재로서의 의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단순한 종교 조각품을 넘어 통일신라시대의 문화적 역량과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뛰어난 주조 기술, 인체에 대한 깊은 이해, 종교적 이상을 조형적으로 승화시킨 예술성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1,2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극락전을 찾는 관람객들은 이 불상 앞에서 통일신라 장인들의 숨결과 신라인들의 신앙심,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낄 수 있습니다.


관련 링크

경주를 방문하신다면 불국사 극락전의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을 꼭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천년의 시간을 넘어 전해지는 신라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