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한 연차수당! 사용하지 못한 연차가 돈으로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연차수당 계산법부터 지급 조건까지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연차수당이란?
연차수당은 발생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을 때 현금으로 지급받는 보상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장되는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로, ’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립니다.
연차수당 vs 연차휴가 차이점
- 연차휴가: 유급으로 쉴 수 있는 권리
- 연차수당: 사용하지 못한 연차에 대한 금전적 보상
2025년 연차 발생 기준

입사 1년 미만 근로자
매월 개근하면 연차 1일 부여되며, 최대 11일까지 발생합니다.
예시
- 2024년 3월 입사 → 4월 개근 시 5월부터 1일 사용 가능
- 입사일 기준 1년 내에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시 소멸됩니다
입사 1년 이상 근로자
80% 이상 출근 기준으로 연차 15일이 기본으로 부여되며, 매 2년마다 1일씩 추가되어 최대 25일까지 발생합니다.
근속연수별 연차 일수
- 1년 차: 15일
- 3년 차: 16일
- 5년 차: 17일
- 7년 차: 18일
- 21년 차 이상: 25일 (최대)

연차수당 계산 방법
기본 계산 공식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1일 통상임금 계산법
1일 통상임금 = (월 급여 ÷ 1개월 근로시간) × 1일 근로시간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
- 기본급
- 각종 고정수당 (직위수당, 직무수당, 가족수당 등)
- 정기 상여금
실제 계산 예시
월 급여 300만원을 받는 근로자 (주 40시간, 하루 8시간 근무)
1단계: 시간당 통상임금 계산
- 3,000,000원 ÷ 209시간 = 14,354원
2단계: 1일 통상임금 계산
- 14,354원 × 8시간 = 114,832원
3단계: 연차수당 계산 (미사용 연차 7일 가정)
- 114,832원 × 7일 = 803,824원
2025년 최저임금 기준 연차수당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입니다.
- 1일 연차수당: 10,030원 × 8시간 = 80,240원
- 15일 미사용 시: 1,203,600원
연차수당 지급 시기
일반적인 지급 시점
예를 들어 2024년에 발생한 연차휴가가 2025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면, 통상적으로 2025년 1월 급여일에 포함하여 지급됩니다.
연차 사용 기한
-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 미사용 시 다음 해 1월 급여일에 수당 지급
지급 의무 예외 사항
회사가 연차 사용 촉진 제도를 시행한 경우:
- 연차 사용 시기를 서면으로 통보
- 통보 후 10일 이내 근로자가 사용 시기 지정하지 않음
- 회사가 지정한 시기에도 사용하지 않음
→ 이 경우 연차수당 지급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퇴직 시 연차수당 정산
정산 대상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은 연차가 남아 있는지를 기준으로 퇴직 시점에서 연차수당을 정산해야 하며,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퇴직 시 연차수당 계산
-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 발생한 모든 미사용 연차
- 퇴직 당해 연도 비례 연차 포함
미지급 시 불이익
해당 기간 내 지급되지 않을 경우, 근로기준법 제109조 규정에 따라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 권리
- 미지급 연차수당은 3년 이내 청구 가능
- 고용노동부 진정 또는 소송 제기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1. 입사 첫해에도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매월 개근하면 연차 1일씩 발생하며, 최대 11일까지 발생합니다. 입사일 기준 1년 내에 사용하지 못한 연차는 수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Q2. 연차수당 계산 시 상여금도 포함되나요?
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 단, 일시적·불규칙적으로 지급되는 성과급이나 특별상여금은 제외됩니다.
Q3. 회사가 연차수당을 안 준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연차 사용 촉진 절차를 거쳤는지 확인하세요. 절차 없이 미지급 시 근로기준법 위반이므로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Q4. 연차를 돈으로 미리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연차는 반드시 휴가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만 수당으로 지급됩니다. 미리 현금화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Q5. 육아휴직 기간도 연차 계산에 포함되나요?
육아휴직 기간은 근로한 것으로 인정되어 80% 출근율 계산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육아휴직을 다녀와도 정상적으로 연차가 발생합니다.
연차 관리 팁
효율적인 연차 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 입사일과 연차 발생일 확인하기 ✅ 매월 남은 연차 일수 체크하기 ✅ 연차 사용 기한 확인 (발생일로부터 1년) ✅ 퇴직 예정 시 미사용 연차 정산 요청하기 ✅ 회사의 연차 사용 촉진 통보 확인하기
연차를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
- 연초에 연간 휴가 계획 수립
- 장기 연휴와 연계하여 사용
- 업무 인수인계 후 사용
- 소멸 예정 연차부터 우선 사용

마무리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입니다. 2025년 최신 기준에 따라 정확하게 계산하고, 권리를 보장받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상담센터(1350)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 입사 1년 미만: 월 1일씩 최대 11일
- 입사 1년 이상: 기본 15일, 2년마다 1일 추가 (최대 25일)
- 퇴직 시 14일 이내 정산 필수
- 미지급 시 3년 이내 청구 가능
관련 법령 및 참고자료
-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 유급휴가)
- 근로기준법 제36조 (금품 청산)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 근로계약서 작성 가이드
본 콘텐츠는 2025년 10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령 개정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